월생관(月笙冠)
페이지 정보
관련링크
본문
월생관(月笙冠)
니시구치(西口郁夫) 씨의 '흑모단(黒牡丹)'으로부터 백호(白縞)로 변화한, '월생(月笙)'에서 다시 복륜으로 싹(芽) 변화한 것이다. 무늬는 '송 예(松芸)'를 흩어놓은「白牡丹 芸」에서 복륜(확실한 복륜으로 고정은 아니다) 형태의 감통(紺通)으로 변화 완성되었다. 천엽은「牡丹 芸」로, 거의 유령(幽靈)에 가까운 서반성(曙斑性)으로 나와, 중통(中通) 부분이 빠르게 어두워지면서 감(紺)이 올라오고, 복륜의 테두리만 살짝 걸치는 후암성의 삼광중반 형태다. 맑고 깨끗한 이 환상적인 무늬는 특히 여름 이후 강한 햇볕 아래서 재배할 경우 설백(雪白) 무늬가 붉게 물들고, 뿌리도 루비색이 더욱 진해진다. '흑모단'계열 가운데 최고 품종 중 하나로 손꼽히는 희소 품종이다. 잎 형태는'흑모단'과 같이 두꺼운 직도형(直刀型)의 잎으로, 잎 뒷면에 묵(墨)을 흘리며, 뿌리도 루비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