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생(月笙)
페이지 정보
관련링크
본문
월생(月笙)
'금모단(金牡丹)'에서 무지엽(靑葉)으로 된 것(천엽에 노란색(黃)의 서 예(曙芸)가 나오지 않음)이 현재 '흑모단(黒牡丹)'이라는 이름으로 유통되고 있다. 그 '흑모단'에, 선천성의 백황호(白黄縞)가 나타난 것이 본종이다. 여러 곳에서 '흑모란'을 재배 중에 줄무늬(호)가 나왔다는 이야기가 있어, 본종의 모종인 '흑모단'의 인기가 높다. 본종은, 미에현(三重県)의 니시구치(西口郁夫) 씨가 그 예(芸)의 고정성을 확인했고, 동양란으로 저명한 東京의 구로사키(黒崎陽人) 씨가 부드러운 색조와 후암(後暗)되는 모습에서 "월생(月笙)"이라고 명명했다. 본래 '금모단'은 인기도 높고, 다양한 변화종이 나오고 있지만, 아직 정리되지 않은 상태다. 본종처럼 이름을 붙이는 것도 정리를 하기 위해서도 필요할 것이다. 무늬의 예(芸)는 백황호(白黄縞)가 선천성으로 나오지만, 나중에 어두워지는 후암성(後暗性)이다. 니축에 루비뿌리와 니근으로, 붙음매는 월형이다.
